반응형
1. git init : git 초기화(처음에만 실행)
2. git add . : 업로드할 파일 추가
3. git commit -m "my first pjt" : 커밋명 적기
4. git branch -M main
4. git remote add origin 리포지토리 주소 : 원격 저장소 연동
5. git push -u origin main
업로드를 할 때 무시하고 싶은 폴더는
'.gitignore' 파일을 만들어 적어놓으면 된다.
node_modules 폴더의 경우 package.json 파일만 있으면 되니 이 폴더를 적어놓았다.
====================================================
2022.12.19
git push를 하고 난 후 깃허브에 가서 보니
업로드가 되지 않았다.
왜그런가 하고 이것저것 눌러보다 pull requests에 들어가보니 내가 업로드한 코드들이 있다.
화면 위에는 There isn't anything to compare.가 적혀있었다.
역시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은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git checkout master
git branch main master -f
git checkout main
git push origin main -f
-f는 강제적으로 밀어넣는다는 것 같은데.. 혼자 쓸 때만 가는한 방법인 것 같다.
협업할때 이런식으로 하면 큰일나겠지.
git 공부를 좀 해봐야겠다.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
반응형
'개발 저장소 > 개발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js] 라우터 사용 시 export 'Switch' (imported as 'Switch') was not found in 'react-router-dom' 에러 (0) | 2022.12.18 |
---|---|
[React.js] API에서 받은 객체를 prop을 이용해 그대로 자식 컴포넌트에 전달? 아니면 선별해서 전달? (0) | 2022.12.18 |
[React.js] useEffect, 필요한 부분만 골라 랜더링 하기 (0) | 2022.12.17 |
[VS] nuget 설치 시 적용 안되는 문제 (0) | 2022.12.15 |
[C#, WPF] Grid, StackPanel, WrapPanel 알아보기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