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unction App() {
const [minutes, setMinutes] = React.useState();
const [hours, setHours] = React.useState();
const onChange = (e) => {
console.log(e);
console.log(e.target.value);
};
return (
<div>
<h1>Super Converter</h1>
<label htmlFor="minutes">Minutes</label>
<input
onChange={onChange}
value={minutes}
id="minutes"
placeholder="Minutes"
type="number"
/>
</div>
);
}
handler 이벤트를 발생시킨 후 인자에 매개변수를 실어 콘솔로그를 찍어보면
아래와 같은 객체가 출력된다.
리액트가 가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인데, 자세히 보면
target에 내가 접근한 태그가 있고
target.value에 내가 작성한 값이 나와있다.
이런 방식으로 input 등에 입력된 값을 가져 올 수 있다.
반응형
'개발 저장소 > 개발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사용중인 단축키 (0) | 2022.12.13 |
---|---|
[Vscode] 동일한 단어 한꺼번에 선택, 수정 (0) | 2022.12.13 |
[React.js] useState 선언 방법 (0) | 2022.12.13 |
[React.js] JSX문법 사용 시 Babel의 역할 (0) | 2022.12.13 |
[React.js] styled-component 설치 후 글자 테마 변경(vscode-styled-component) (0) | 2022.12.12 |